가상화폐·핀테크
-
네오핀, 클레이튼 재단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블록체인 전문 기업 네오플라이의 자회사인 네오핀은 클레이튼 재단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네오핀에 따르면 이번 파트너십은 네오핀과 클레이튼의 성공적인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 및 4월부터 출시되는 클레이튼 네트워크 기반 P&E(Play and Earn) 게임의 성공을 위해 진행됐다. 클레이튼 재단은 클레이튼 메인넷을 기반으로 개발된 블록체인 오픈플랫폼 네오핀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Klaytn Growth Fund’를 통해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다는 방침이다. 네오핀 역시 클레이튼에 전략적 투자를 집행하고, 향후 클레이튼 기반의 P&E 게임을 확대해 나가기로 협의했다. 양사는 성공적인 글로벌 확장을 위해
-
위믹스, 미국 대형 거래소 '크립토닷컴'에 상장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WEMIX)가 미국 대형 거래소 크립토닷컴에 상장됐다. 19일 크립토닷컴은 트위터를 통해 위믹스를 상장했다고 밝혔다. 크립토닷컴은 미국프로농구(NBA) 인기구단 LA 레이커스와 공식 가상자산 파트너 계약을 체결하는 등 유명 스포츠팀을 비롯, 그 외 다수의 파트너십을 만들어가고 있다. 위믹스는 현재 국내 4대 거래소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과 해외 거래소 후오비, OKX, LBank, MEXC, Bybit, Liquid Global, Probit Global, 인도닥스 등에 상장되어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위메이드는 위믹스 토큰을 글로벌 상위 50위 가상자산 거래소에 모두 상장시킨다는 계획이다. 한편, 위메이드는 21일부터 25일(
-
넷마블 MBX, 클레이스왑 유통과 동시에 거래량 약 190억원 달성
넷마블의 블록체인 생태계 자체 토큰 MBX가 유통 하루 만에 거래량 약 190억원을 달성했다. 넷마블은 17일 블록체인 생태계에 공식 진출, 클레이튼(Klaytn) 메인넷을 기반으로 한 자체 생태계 ‘MBX’를 공개했다. MBX 공개와 동시에 클레이스왑(KLAYswap)에서 최초로 생태계 내 자체 기축 통화 ‘MBX(MARBLEX)’ 토큰 유통이 시작됐다. 앞서 넷마블과 클레이튼 메인넷 내 최대 DEX(Decentralized Exchange), 클레이스왑의 개발·운영사 오지스(Ozys)와의 협업 소식이 알려졌다. 오지스에 따르면 MBX는 클레이스왑 상장 당일 최고가는 약 6만원에 형성되었고, 거래량은 약 189.7억원에 이르렀다. 또한 18일 정오 기준, 4만 5천원 대
-
[분열하는 클튼 생태계②] NFT 신 디스전 발발… 이두희 VS 슈퍼비의 메타범즈 '맞짱'
클레이튼 NFT 시장 리더인 메타콩즈 이두희 대표와 래퍼 슈퍼비의 메타범즈 프로젝트간 발생한 갈등의 여파가 업계 전반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현재 메타범즈가 이른바 '이두희 손절 논란'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면서 이 둘간의 갈등 구조가 수면 위로 부상한 상태다. 때마침 NFT 시장도 침체기에 접어들면서 일부 투자자들의 우려 또한 깊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반면 이 둘의 갈등이 투자자들로 하여금 그림 한 장으로 ‘떡상’을 노리던 소위 ‘무지성 투자’를 멈추고 프로젝트의 경쟁력을 판별하는 가치투자로 전환케한 터닝 포인트가 됐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메타범즈의 협업 관계로 전면에 내세워졌던 이두희 대표가 메
-
KB증권, 가상화폐·NFT 분석 포함한 디지털자산 분석보고서 발간
KB증권은 리서치센터를 통해 디지털자산에 대한 분석보고서를 제공한다고 16일 밝혔다. KB증권에 따르면 리서치센터의 새로운 분석자료 명칭은 영문 Digital Asset KB의 앞글자를 딴 ‘다이아KB’다. ‘다이아KB’는 디지털자산 전반에 대해 분석하며 심층분석, 관련 동향 업데이트, 주요 이슈 코멘트 등 크게 세 가지 형태로 제공할 계획이다. 여기에서 디지털자산은 암호화폐, NFT 등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자산을 총칭한다. ‘다이아KB’ 1호 보고서에서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비롯한 가상화폐, NFT,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Defi(Decentralized Finance, 탈중앙화 금융 플랫폼), 웹 3.0 등 블록
-
네오핀, ‘베리파이바스프’와 트래블룰 솔루션 사용 업무 협약 체결
블록체인 전문 기업 네오플라이의 자회사인 네오핀은 ‘베리파이바스프(Verify VASP)’와 트래블룰(자금이동규칙, Travel Rule) 솔루션 사용에 대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베리파이바스프’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기술 자회사 람다256이 기술개발사로 참여한 기업명이자 트래블룰 솔루션 명칭이기도 하다. 네오핀은 추후 ‘베리파이바스프’ 트래블룰 솔루션을 도입하고 연동할 계획이며, 솔루션의 고도화와 활성화에도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베리파이바스프’ 솔루션 도입을 완료한 이후에는 주요 거래소와 네오핀 지갑 간의 자금 이동이 보다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베리파이바
-
투게더펀딩, 누적상환액 1조원 돌파
P2P금융기업 투게더펀딩(투게더앱스)이 누적 상환액 1조원을 돌파했다고 16일 밝혔다. 22년 3월 기준 누적 취급액은 1조4천억원, 대출잔액은 3천억원이며, 평균 수익률은 10.52%를 기록했다.지난해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온투법) 시행과 함께 토스와 카카오페이 등 투자자 모집이 제한되는 등 업계가 전반적으로 위축되는 흐름에도 투게더펀딩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왔다. 2021년 5월 누적 투자액 1조원을 돌파한 투게더펀딩은 같은 해 6월 1조1천억원을 넘어선 데 이어 10월 1조2천억원, 12월 1조3천억원을 연이어 달성한 후 올해 3월 1조 4천억원을 돌파했다.투게더펀딩은 부동산담보대출 분야의 P2P 대출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업체로 P2P금
-
해시드, 메타 출신 창업가들의 블록체인 스타트업 앱토스(Aptos) 투자
확장성을 갖춘 레이어-1 블록체인을 개발하는 앱토스(Aptos)가 2억 달러(한화 약 2,483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국내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Hashed), a16z 크립토(a16z Crypto), 멀티코인 캐피털(Multicoin Capital), FTX 벤처스(FTX Ventures), 코인베이스 벤처스(Coinbase Ventures), 패러파이 캐피털(ParaFi Capital), 배리언트(Variant), 타이거 글로벌(Tiger Global), 쓰리 애로우즈 캐피털(3 Arrows Capital), , 블록타워 캐피털(BlockTower Capital), 팍소스(Paxos) 등이 참여했다. 앱토스는 메타(Meta; 前 페이스북) 출신의 창업가들이 시작한 스타트업으로 수십억 명 이상의 사용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안정적인
-
쟁글,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OKX와 업무협약
가상자산 데이터리서치 플랫폼 쟁글이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OKX와의 업무 협약을 통해 공식 제3자 감사기관으로서 프로젝트 발굴 및 상장심사를 공식 지원한다고 16일 밝혔다. 쟁글의 운영사 크로스앵글(CrossAngle) 측은 이번 협약으로 OKX의 △상장심사 지원 △각 상장 자산의 공시 △블록체인 데이터 제공 등의 업무를 지원하게 된다. 쟁글은 수준 높은 가상자산 정보공시 및 데이터리서치 전문 플랫폼으로, 현재 국내외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프로젝트 발굴 및 상장 심사 시 쟁글의 신용도 평가 보고서를 활용하고 있다. 쟁글과 업무 협약을 맺은 OKX는 2017년 설립된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로, 2천만 명이 넘는 이용자에게 250개 이상의
-
세틀뱅크, 메타버스로 결제 영역 확대, 트윈코리아 ‘내통장결제’ 오픈
세틀뱅크(대표 최종원)가 가상 부동산 메타버스 플랫폼 트윈코리아에 세틀뱅크의 간편현금결제 서비스 '내통장결제'를 오픈하고 메타버스 결제 시장에 진출한다.세틀뱅크의 간판 서비스인 ‘내통장결제’는 고객이 본인 계좌를 최초 1회 등록하면 이후 PIN번호만으로 손쉽게 이용 가능한 간편현금결제 수단으로 현재 약 900여 개 이상의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결제수단으로 등록되어 있다.트윈코리아는 푸드테크 기업 ‘식신’이 출시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현실 공간을 메타버스 공간에 셀(Cell) 단위로 구현한다. 각각의 셀 안에는 실제 해당 지역에 위치한 상점이나 식당이 노출되며, 유저들은 셀을 분양 받아 셀 오너가 되거나 결제, 영
-
조각투자 플랫폼 '피스' “혁신금융서비스 인가 통해 제도권 금융사 발돋음 목표”
저작권료 참여청구권을 대상으로 하는 조각투자 사업모델에 대해 금융당국이 「자본시장 법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상 규제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내 최초 현물 조각투자 플랫폼 ‘피스(PIECE)’ 운영사인 바이셀스탠다드(대표 신범준)가 16일 규제 이슈에 대한 공식입장을 밝혔다.바이셀스탠다드 신범준 대표는 “채권(債券)을 투자대상으로 삼는 모델과는 달리, 피스(PIECE)는 투자대상 현물의 소유권인 물권(物權)을 사전에 100% 취득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법률상으로 채권은 상대적 효력을 지님에 반해, 물권은 ‘1개의 물건 위에 동일한 내용의 물권이 1개밖에 성립할 수 없다’는 일물일권주
-
술 사주는 NFT, 드렁큰돌 16일 출시…드렁큰돌 V1 5,000개 NFT정식 런칭
드렁큰돌(Drunken Doll)의 주류 NFT(대체불가능 토큰)의 민팅이 오늘(16일) 진행된다. 민팅은 NFT를 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16일) 20시 사전 판매를 시작한 뒤, 곧 이어 22시부터 퍼블릭 판매가 오픈된다고 드렁큰돌은 밝혔다.민팅에는 총 5,000개의 드렁큰돌 NFT가 정식으로 런칭되며, 7가지의 레이어를 기준으로 제너레이티브 아트로 공개 예정이다. 첫 정식 민팅 이후 드렁큰돌 리미티드 에디션은 콜라보레이션 이슈와 콘셉트마다 수작업을 통해 탄생할 예정이며, 추후 게릴라 민팅으로 발행된다드렁큰돌은 우주 어딘가에 위치한 드렁큰 행성(Drunken Planet)에서 온 원주민을 콘셉트로, 단일화된 주류 문화를 건전하고 힙하게 바꾸고자
-
‘Amulet_호령전_범을 깨우다’ 부산전시 개막…원화 작품과 디지털 그리고 NFT동시 공개
박대성, 강형구, 우국원, 이재삼 등 국내 미술계 거장들과 최근 대만 유명 연예인과 결혼 발표로 이슈인 구준엽 작가와 김규리 아트테이너들이 참여한 ‘Amulet_호령전_범을 깨우다’가 서울 전시 성공을 통해 보다 많은 분들이 직접 전시를 관람 하실 수 있도록 부산 전시를 신세계센텀시티 백화점에서 오는 11일부터 31일까지 열린다.전시 주제는 ‘호랑이의 영험한 기운’이다. 2022년 임인년의 상징인 ‘호랑이’의 모습을 그려낸 작품들로 올해 초 국민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자는 취지이며, 원화 그리고 디지털 전시와 함께 3월 22일부터 참여 작가의 NFT 발행이 디지털 자산 거래소 업비트 플랫폼을 통해서 매주 수요일 발행 예정으
-
직톡, 상장 후 1300% 대 상승으로 코인마켓캡 메인 장식
웹3.0 기반 숏비디오 플랫폼 직톡(대표 심범석)은 직토큰(ZIK)이 해외 거래소인 엘뱅크(LBank)에 14일 상장한 후 1300%대 상승으로 코인마켓캡 메인을 장식했다고 15일 밝혔다.직토큰은 14일 오후 6시(한국시간) 엘뱅크의 테더(USDT) 마켓에 상장한 후 1300%대로 급등하며 글로벌 거래소 순위 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최대 상승폭 기준 글로벌 2위를 기록했다. 직토큰은 15일 전세계 암호화폐 시총 기준 글로벌 400위권에 진입했다.해외 금융 전문 미디어도 직토큰의 급상승에 대해 주목했다. 영국 소재의 금융 전문 리서치 회사인 칼킨 미디어(Kalkine Media)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로 암호화폐 시장이 위축돼 있는 가운데 직토큰이 1
-
해시드, 웹3.0 간편로그인 스타트업 램퍼(Ramper)에 투자
웹3.0 서비스 사용자 유입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스타트업 램퍼가 300만 달러(한화 약 37억 원) 규모 프리시드 단계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국내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해시드가 리딩했고, 테라(Terra), 폴리곤(Polygon), 굿워터 캐피털(Goodwater Capital), 삼성 넥스트(Samsung Next), 골든벤처스(Golden Ventures), R7 캐피털(R7 Capital), 500 글로벌(500 Global), 메이플 VC(Maple VC) 등이 참여했다. 램퍼는 이번 투자를 통해 자사 프로덕트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램퍼는 웹3.0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따르는 불편함을 제거하는데 집중한다. 램퍼는 별도 지갑 설치가 필요없이 이메일이나 간편 로그인과 같이 기존 사용자
-
지닥, 가상자산 인덱스 상품 1호 콜럼버스 호 출시
피어테크가 운영하는 디지털 자산 거래소 지닥(GDAC)이 금융위원회 인가 가상자산거래소 최초 자산운용 인덱스 상품 ‘GDAC Index’를 3월 15일 출시한다. 이는 지닥의 특허기반 자산운용 기술 인덱스 상품으로 GDAC에만 독자적으로 런칭된다. 최초로 소개되는 ‘GDAC Index 1호 콜롬버스'는 글로벌 시가 총액 최상위권 디지털 자산 6종(비트코인(BTC)·이더리움(ETH)·이더리움클래식(ETC)·리플(XRP)·테더(USDT)·클레이(KLAY))을 기반으로 해당 자산의 유동성과 변동성을 추종하는 ‘보상률 지수' 기반 상품이다. 즉, 디지털 자산의 유동성과 변동성이 높아질수록 보상률 상승의 확률이 증가한다. 향후 추가로 런칭되는 ‘GDAC Index 2호’
-
코인원, 여의도로 사옥 확장 이전…새로운 도약 다짐
코인원(대표 차명훈)이 사세 확장에 따라 여의도 오피스로 사옥을 이전했다고 15일 밝혔다.코인원은 14일 여의도의 랜드마크로 떠오른 파크원 타워로 사옥 이전을 완료했다. 파크원 타워1의 45, 46층 두 개 층을 업무공간으로 사용한다. 단, 오프라인 고객센터는 기존 용산구 위치에 유지하여 방문 고객 혼선을 최소화할 예정이다.신규 오피스는 임직원의 업무 편의성 및 효율성, 집중과 쉼 사이 균형에 중점을 두고 설계됐다. 층 별 전용면적 500평 이상으로 업무 공간이 기존 사옥보다 3배 이상 넓어졌다. 전 좌석에 최신사양의 업무 기기와 허먼밀러 의자를 배치해 업무에 쾌적한 환경을 조성했다. 20인실부터 4인실까지 용도에 따라 활용 가능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