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핀테크
-
블록체인 업계, 주요 임원 영입 ‘활발’.. ”블록체인 사업 적극 추진”
NFT(대체불가토큰)와 디파이(Defi, 탈중앙화금융) 등 블록체인 시장이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관련 기술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NFT는 그동안 블록체인 기술의 한 분야 정도로 인식돼 왔다. 발행도 게임이나 캐릭터 위주로 소수 마니아층에서만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국내외 NFT 열풍이 불면서 위상이 확 달라졌다. 디파이 또한 효과적인 암호화폐 자산관리 방안으로 자리잡으면서 이더리움, 테라, 아발란체 등 관련 프로젝트들이 디파이 투자 수요를 기반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다.이처럼 블록체인 생태계가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블록체인 기업간 인재 영입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기존 산업과의 연계성 강화를 위해 임원
-
두나무, ESG 경영위원회 공식 출범
블록체인 및 핀테크 기업 두나무가 지속가능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ESG 경영위원회를 공식 출범한다고 22일 밝혔다.두나무 ESG 경영위원회는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경영진의 강한 실천 의지를 바탕으로 송치형 회장이 위원장을, 김형년 부회장이 부위원장을 맡았으며 이석우 대표이사(CEO), 임지훈 최고전략책임자(CSO), 정민석 최고운영책임자(COO), 남승현 최고재무책임자(CFO)로 구성되었다.두나무의 공동창업자인 송치형 회장, 김형년 부회장과 함께 ESG경영을 펼쳐나갈 위원들로는, 이석우 대표이사(CEO)는 중앙일보 조인스 공동대표, 카카오 공동대표, NHN 대표, 한국 IBM 고문변호사 등 경영 및 법률에 대한 풍부한 경험으로 블록체인 업계
-
피플펀드, 2022년 1분기 사업성과 발표
온투금융사 피플펀드(대표이사 김대윤)가 2022년 1분기에 신규대출1,707억6천만원을 취급하며 전분기대비 322%, 전년동기대비 423% 쾌속 성장하고 있다. 3월 말 기준 누적대출액은 1조 3,829억5천만원이며, 대출잔액은 2,854억7천만원으로 크게 증가한 한편, 연체율은 업계 최저수준인 1.2%를 기록하며 견실하게 성장하고 있다. 또, 3월 신규 대출 취급액은 635억원으로 창립 이래 최대 규모를 경신했다.피플펀드는 개인신용대출을 취급하고 있는 11개 온투금융사 중 독보적 1위로, 3월말 대출잔액기준 시장점유율 69.6%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피플펀드는 1분기 개인신용대출 신규 취급액 753억7천만원 중 NICE 4등급 이하 중신용 고객들에게 제
-
아티젠, 글로벌 거래소 MEXC Global 거래소 상장
NFT(Non-fungible Token) 전문기업 ‘아티젠 허브 피티이’(Artizen Hub PTE, 이하 아티젠)의 자체 발행 토큰인 ATNT를 글로벌 가산자산 거래소 ‘MEXC Global’에 상장한다. MEXC 거래소는 2018년 설립 이후 전세계 70개이상의 국가에서 60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한 대형 가상자산 거래소로 아티젠의 자체토큰, ATNT생태계 구축을 본격적으로 앞두고 있다. 아티젠은 글로벌 거래소 MEXC에 4월 26일 상장을 시작으로 국내외 대형 거래소에 순차적으로 올해 안에 상장할 예정이다. 이번에 상장하는 아티젠의 ATNT(Artizen Token)는 다양한 문화 · 예술분야의 NFT 마켓에서 개인과 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커뮤니티 플랫폼(Community Pla
-
코인원 플러스, 1분기 스테이킹 투자 훈풍 타고 ‘순항’
코인원(대표 차명훈)이 가상자산 리워드 수익 창출 플랫폼 ‘코인원 플러스‘의 1분기 성과를 21일 공개했다. 코인원 플러스는 2019년 국내 최초로 스테이킹을 선보인 이래 다양한 상품과 안정적인 서비스를 통해 국내 스테이킹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2022년 1분기 코인원 플러스 이용고객 수는 76,86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한 수치로 한 해 동안 스테이킹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과 직접적인 참여가 크게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올 1분기 코인원 플러스가 지급한 리워드 금액은 총 19억 7천여만 원으로, 2022년 3월 31일 기준 누적 리워드 금액은 약 802억 원에 이른다.한편, 코인원 플러스는 현재 데일리 7종(ATOM/LU
-
두나무, 장애인의 날 맞아 발달장애 아티스트 작품 NFT 발행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 기업 두나무(대표 이석우)가 장애인의 날을 맞아 사회적기업 베어베터(대표 김정호)와 함께 발달장애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NFT로 발행한다. 두나무 ESG 키워드 중 하나인 ‘청년’ 사업의 일환으로, 코로나로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발달장애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판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20일 오후 6시 업비트 NFT에서 판매가 시작되며, 해당 작품은 이규재 작가의 <봄이라구요>, 서은정 작가의 <안녕, 친구야>, 박병준 작가의 <자유로운 동물들의 세계> 등 총 3점이다. 아티스트 각자의 재능을 살려 그래픽 디자인, 서양화, 추상화 형식으로 제작됐으며, 편견과 혐오가 일상이 된 시대에 다시
-
OKX 블록드림 벤처스, 쟁글과 파트너십 발표
글로벌 규모의 블록드림 프로젝트를 발굴하며 발전을 이끄는 OKX 블록드림 벤처스(대표 Dora Yue)와 데이터 기반의 글로벌 가상자산 플랫폼 쟁글의 운영사 크로스앵글(공동대표 김준우, 이현우)이 가상자산 프로젝트 데이터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이번 협약으로 쟁글은 OKX 블록드림 벤처스가 투자를 검토하는 가상자산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 정보 공유 및 사전 검토 과정에서의 긴밀한 업무 협력 등을 진행하게 됐다.김준우 쟁글 대표는 이번 협약에 대해 “보다 다양한 형태의 글로벌 플레이어와 평가 정보 협업을 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며, “이번 협업을 통해서 투자사들도 더 많은 자산을
-
비블록 거래소, 디센드럴랜드(MANA), 엑시인피니티(AXS) 신규 상장
가상자산 거래소 비블록은 20일 16시에 디센트럴랜드(MANA), 엑시인피니티(AXS) 코인을 BTC 마켓에 상장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시간 기준 20일 14시에 입금 주소 오픈, 16시부터 거래가 가능하다.디센트럴랜드(MANA)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으로 구동되는 가상현실 플랫폼으로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을 생성 및 수익화할 수 있다.엑시인피니티(AXS)는 블록체인 기반 트레이딩 및 배틀 게임으로 ‘엑시즈’로 불리는 디지털 펫을 육성, 배틀, 수집하는 등 다양한 참여 및 수익화가 가능한 P2E 게임이다.이번 디센트럴랜드(MANA), 엑시인피니티(AXS) 신규 상장은 이더리움 네트워크(ERC-20)를 통한 입금만을 지원한다.비블록 관계자는 “비블록
-
디비전 네트워크, 3차 랜드세일 완판
NFT 자산 기반의 메타버스 플랫폼 디비전 네트워크(Dvision Network)가 메타버스 공간 ‘랜드(LAND)’의 세 번째 판매를 모두 마쳤다고 20일 밝혔다.한국시간 기준 19일 오후 8시에 시작된 디비전 메타버스의 세 번째 랜드세일에서 모든 랜드가 완판되며, 동시에 개인 간 P2P 거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세 번째 랜드세일은 디비전 마켓 플레이스와 미국 온라인 쇼핑몰 쇼피파이(Shopify)에서 진행됐다. 디비전 네트워크는 쇼피파이를 통해 NFT 구매 접근성을 높이고 신용카드로 랜드 NFT를 판매하는 새로운 시도를 했다.이날 디비전 미공개 메타시티(가상도시)인 베를린과 상파울루의 3,818개 필지(PARCEL)가 공개됐다. 베를린의 랜드는 BNB체
-
바이비트 신규 런치패드 ‘APEX’ 공개…BIT 토큰으로 구매 가능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비트가 에이펙스 프로토콜(ApeX Protocol, 토큰 심볼: APEX) 런치패드를 실시한다.에이펙스 프로토콜은 모든 토큰 거래쌍에 대한 영구 스왑 마켓 생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력적인 자동화 마켓메이커(elastic-Automated Market Making, eAMM)를 사용하는 무허가 및 검열 방지 프로토콜이다.에이펙스 프로토콜은 2월 28일 이더리움 레이어2 솔루션인 아비트럼(Arbitrum) 메인넷에서 베타 버전을 성공적으로 출시했으며 아비트럼의 확장성과 호환성을 활용해 트랜잭션당 비용을 최소화하고 프로토콜의 실행 속도를 최적화하도록 설계됐다.이를 통해 사용자는 개인 키에 대한 완전한 제어를 유지하면서 중개자 없이 이
-
메타파이, 장애인의 날 기념 NFT 발행한다
블록체인 기술 전문기업 코인플러그(대표 어준선)는 장애인의 날을 맞이하여 사회복지법인 따뜻한동행(이사장 김종훈)과 협업하여 음원 NFT를 발행하고, 무료 드롭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20일 발매된 ‘WE(With Equality)’ 음원은 임채섭(42, 시각장애) 작곡가를 주축으로 가수 이소정(19, 시각장애)양 그리고 배우 최성원(37)씨와 배우 최태환(33)씨의 재능기부로 완성됐다. 해당 음원과 뮤직비디오는 따뜻한동행 홈페이지와 각종 음원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는 21일부터 NFT 마켓 플레이스 메타파이(METAPiE)에서 해당 음원 NFT 무료 드롭과 함께 한정판 NFT를 발행하여 판매하며, 수익금은 전액 기부될 예정이다. 코인플러그 관계자
-
클레이튼판 커브-워(Curve War) 시작, 심비오틱 공식 출시
클레이파이랩이 클레이튼 생태계의 다양한 디파이(DeFi) 서비스를 아우르는 준비 통화 프로토콜인 심비오틱(symbiotik)을 공식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클레이파이랩에서 출시한 심비오틱은 클레이튼 위에서 운영 중인 여러 디파이 서비스들의 거버넌스 토큰을 프로토콜 차원에서 확보하고, 이 자산들을 기반으로 준비 통화인 심(SYM)을 발행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지속적으로 클레이튼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거버넌스 파워를 프로토콜 차원에서 확보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클레이튼 생태계의 여러 디파이 서비스들의 거버넌스 토큰을 심비오틱이 확보 해 나갈 경우, 각 거버넌스 시스템을 차지하기 위한 클레이
-
코빗, 업계 최초 수수료 혁신···이용자에게 수수료 돌려준다
코빗(대표 오세진)이 이날부터 업계 최초 수수료 혁신과 신규 서비스 론칭을 통해 이용자에게 KRW 포인트를 돌려준다고 20일 밝혔다.코빗은 기존 이용자들이 수수료를 지불하던 구조에서 탈피해 이용자들에게 실질적인 이익이 될 수 있도록 메이커 인센티브, 데일리 보너스 두 서비스를 기획했다. 두 서비스를 통해 지급받은 KRW 포인트는 원화로 교환할 수 있다.우선 메이커 인센티브는 메이커 주문으로 체결한 금액의 0.05%를 KRW 포인트로 지급해주는 수수료 혁신이다. 메이커 주문이란 주문 즉시 체결되지 않고 오더북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주문으로 업계에서 마켓 메이커에게 거래에 보상을 지급하는 것은 코빗이 최초다.기존에 이용자들이
-
두나무 자회사 람다256, 국내 최초 탄소중립 친환경 블록체인 3자 기관 검증
업비트를 운영중인 두나무 계열사이자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의 운영사인 '람다256(Lambda 256)'이 자체 블록체인인 ‘루니버스’ 메인넷의 전력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제3자 검증을 글로벌 인증기관 DNV로부터 수행하여 환경 데이터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확보하였다고 20일 밝혔다. 이를 통해 람다256의 ‘루니버스’는 전력 사용량을 저감하여 대표적인 저탄소 배출 블록체인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그린NFT(Green NFT)’ 플랫폼으로서 탄소 중립에 앞장서고 있다고 밝혔다. 람다256이 제공하는 ‘루니버스’는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중 하나인 위임 지분 증명(LPoA)을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블록체인 거래를 가능
-
마이로드,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글루와(Gluwa) 크레딧코인(CTC)과 파트너십 체결
NFT 프로젝트 ‘에이지오브젠(Age of Zen, 이하 아오젠)’의 메타버스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는 메타버스 스타트업 마이로드(대표 최준표, 김재원)는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글루와(Gluwa)의 크레딧코인(Creditcoin)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마이로드는 크레딧코인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멀티체인기반의 NFT 마켓플레이스를 함께 구축하기로 했다. 크레딧코인의 게이트웨이 다오(Gateway Dao) 솔루션을 활용하면 플랫폼에 상관없이 NFT 거래가 가능한 개방형 금융 생태계(OpenFi)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양사는 상호협력을 통해 NFT 마켓플레이스를 런칭하고 아티스트의 원활한 작품 출시 과정을 돕기로 했다.마이로드는 지난 2월 첫 민팅
-
플라이빗, 사무실 확장 이전 “고객 접점 강화”
가상자산 거래소 플라이빗(FLYBIT)의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이하 플라이빗)가 최근 채용 인력 확대와 고객 편의 증대 등을 고려해 오피스를 확장 이전했다고 19일 밝혔다.플라이빗의 이번 이전은 사업 성장에 따른 인력 증가를 반영한 것으로, 서초구 강남대로에 위치한 브랜드칸 타워 14, 15층으로 자리를 옮겼다.신규 오피스는 직원의 업무 효율성 및 고객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데에 방점을 두었다. 고객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독립된 고객라운지를 마련하고 ▲부서별 공간 ▲다양한 규모 회의실을 갖추었다.플라이빗은 이번 업무 환경 개선과 함께 전직군에서 공개 채용을 진행중이다. 프론트엔드·백엔드·모바일 개발
-
산돌메타랩, 한글폰트 기반의 글로벌 NFT 프로젝트 ‘TYPY(티피)’ 공개
㈜산돌메타랩(대표 조성민)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 40개에 NFT를 적용하고 다양한 한글 단어를 조합할 수 있는 NFT 프로젝트 ‘TYPY(티피)’를 공개했다.산돌메타랩은 한국 최초의 폰트회사로서 지난 1984년 '산돌 타이포그라픽스'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국내 최대의 폰트 플랫폼 서비스인 산돌구름을 운영하는 폰트 전문 기업 ㈜산돌의 자회사다.지난 해 한글을 주제로 NFT 분리, 결합 등 고도화된 블록체인 기술 및 활발한 디앱(Dapp, 탈중앙화 앱) 연구개발을 진행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첫번째 NFT 프로젝트 ‘TYPY‘(티피)를 공개, 글로벌 NFT 시장에 본격적인 도전장을 내밀었다.‘TYPY(티피)’는 민팅(minting)이나 거래를 통해 한글의 자음
상단으로 이동